장복서(掌服署)
고려시대 왕의 옷을 상납하는 일을 관장하던 관서. # 내용
목종 때는 상의국(尙衣局)이라 하여 봉어(奉御)·직장(直長)의 관직을 두었고, 문종 때 봉어는 정6품 1인, 직장은 정7품 2인으로 하였다. 1310년(충선왕 2) 장복서로 고치고 봉어를 영(令)으로 고쳤으나 직장은 그대로 두었다.
1356년(공민왕 5) 7월 반원정책으로 관제를 개혁할 때 문종구제로 돌아가 상의국으로 환원하더니, 1362년 3월 다시 장복서로, 1369년 6월 상의국으로, 1372년 6월 장복서로 개편을 되풀이하다가 1391년(공양왕 3) 공조에 병...